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이하린 앵커 <br />■ 출연 : 최두희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경제PICK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두 번째 키워드 먼저 영상부터 보고 오겠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업계가 층간 소음을 잡기 위해 어떤 신기술들을 개발한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 들어 건설업계가 층간 소음을 잡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발 벗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DL이앤씨는 최근 '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'를 개발했는데요. <br /> <br />기존 가정용 에어컨 소음 수준인 38에서 40데시벨 소음차단 성능에서 도서관 소음 수준인 35데시벨 안팎으로 소음차단 성능을 한 단계 더 높였고요. <br /> <br />소음을 잡아주는 고성능 완충재를 단순한 구조로 구성해 시공 과정을 줄였고 적정한 원가도 확보해 즉시 상용화가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또 현대엔지니어링은 국내 건설업계에서 최초로 이른바 '천장형 차음 구조'를 개발했는데요. <br /> <br />기존에 업계에서 활용하던 바닥형 차음 구조와 달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구조를 천장에 시공하는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우미건설도 두산건설, 유진기업 등과 함께 층간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'고점탄성 모르타르를 사용한 바닥 구조'를 개발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를 통해 바닥충격음을 8에서 10데시벨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자, 그렇다면 이렇게 건설업계가 층간소음 저감 기술 개발에 힘쓰는 이유는 뭘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지난 2019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집계된 층간소음 민원접수는요. <br /> <br />무려 28만 건이 훌쩍 넘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아무래도 거주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민원 접수는 꾸준히 늘고 있는 데다 사회적 갈등으로도 이어지는 상황이죠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눈높이가 날로 까다로워지고 있고요. <br /> <br />정부의 관련 규제 강화도 또 하나의 이유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가 지난해 층간소음 사후 점검에서 최저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아파트에는 준공 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 과정에서 대형 건설사에 비해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의 부담이 클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고요. <br /> <br />기술 개발에 따른 공사비 상승 가능성은 슬기롭게 풀어야 할 숙제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117144489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